분류 전체보기872 사순절 묵상자료 31일차 4월 9일(수) 제31일. 4월 9일(수) . 탐욕 : 주어지지 않은 것을 갈망하는 죄. 찬 송 : “주 예수 내 맘에 들어와”(289장)본 문 : 디모데전서 6장 1-10절중심구절 : “돈을 사랑함이 일만 악의 뿌리가 되나니 이것을 탐내는 자들은 미혹을 받아 믿음에서 떠나 많은 근심으로써 자기를 찔렀도다”(10절). 깊은 묵상인간에게는 욕망이 있습니다. 욕망, 그 자체가 나쁘거나 죄악은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주신 욕구이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그 욕망의 방향과 범위입니다. 에덴동산에 생명나무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를 두신 이유는 인간의 욕망과 탐욕의 경계를 우리에게 알려 주시기 위함입니다. 욕망과 탐욕의 경계선은 하나님의 사랑입니다. 모든 것을 먹고 마시고 누릴 수 있는 자유를 주시지만, 그 방향이 죽음과 .. 2025. 4. 8. 사순절묵상 30일차 4월8일(화) 제30일. 4월 8일(화) . 질투 : 마음에 비교와 미움의 불을 지르는 죄. 찬 송 : “나 행한 것 죄뿐이니”(274장)본 문 : 고린도전서 3장 1-9절중심구절 : “나는 심었고 아볼로는 물을 주었으되 오직 하나님께서 자라나게 하셨나니”(6절). 깊은 묵상어느 모임에서 한 사람이 칭찬을 받을 때, 나도 모르게 마음이 불편해진 적이 있습니까? 나보다 실력이 부족하다고 여겼던 사람이 인정받거나, 내가 기대했던 자리에 다른 사람이 서 있는 모습을 보면, 기쁨보다는 불편한 감정이 먼저 들 때가 있습니다. 질투는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우리 안에 비교 의식과 불안을 키우고, 타인과의 관계를 깨뜨리는 죄입니다. 고린도 교회도 질투와 분쟁으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바울은 "육신에 속한 자로다 너희 가운데 시기.. 2025. 4. 7. 예용해 어르신 교회에 오셨습니다. 성탄절에만 오셨던 예용해 성도님이지난 장례식을 마치고직접 교회에 찾아오셨습니다.앞으로도 계속 교회에 나올 수 있도록기도합니다.하나님의 섭리로 교회에 오시게 된 것 같아 보람된 주일이었습니다. 2025. 4. 6. 사순절 묵상자료 29일차 4월7일(월) 제29일. 4월 7일(월) . 정욕 : 이성에 대하여 지나치게 탐닉하는 죄. 찬 송 : “죄에서 자유를 얻게 함은”(268장)본 문 : 에베소서 5장 1-9절중심구절 : “그리스도께서 너희를 사랑하신 것같이 너희도 사랑 가운데서 행하라 그는 우리를 위하여 자신을 버리사 향기로운 제물과 희생제물로 하나님께 드리셨느니라”(2절). 깊은 묵상자극적인 콘텐츠가 점점 많아지는 요즘, 어느 때보다 정욕의 유혹에 흔들리기 쉽습니다. 정욕은 나이를 불문하고 우리를 유혹하여 생각과 감정을 지배하고, 개인의 신앙뿐 아니라 가정과 공동체까지 무너뜨릴 만큼 파괴력이 강합니다. 그만큼 바울은 정욕에 대해 강력하게 경고합니다. 음행과 더러운 것과 탐욕은 이름조차도 부르지 말고 멀리하라고 가르칩니다(3절). 정욕에 빠진 자는 곧.. 2025. 4. 6. 20250406-옥산교회 사순절 다섯번째 주일 예배 설교말씀 - "세가지 십자가" (누가복음 23장 32~43절) 박헌희 목사 20250406-옥산교회 사순절 다섯번째 주일 예배 설교말씀"세가지 십자가" (누가복음 23장 32~43절) 박헌희 목사 - 테필린 복음 구호 -"내가 구원받아야 하고, 내가 헌신해야 하고, 내가 신앙계승해야 하고, 내가 복을 받아야 한다. 아멘! 아멘!" "성령의 능력으로 부흥하는 교회" 하나님 나라를 배우고 연습하고 전하자!옥산교회는 하나님 나라와 의를 구하며, 예수님을 닮아가는 신앙공동체가 되어 세상에 예수님의 복음을 전파하고 하나님 나라를 세워가는 교회가 되고자 합니다.이를 위해 옥산교회는 감동 있는 예배를 드리며 그리스도의 제자로 훈련받고, 사랑을 실천함으로 하나님 나라를 교회와 가정과 사회에 이루기를 힘씁니다. 아름다운 사람들 그리고 행복한 교회 - 옥산교회"하나님의 나라는 먹는 것과 .. 2025. 4. 6. 4월 6일 주보 2025. 4. 5. 하나님의 섭리2 유튜브에 옥산교회 홈커밍데이 영상이 있습니다.옥산교회 역사가 담겨져 있는 귀한 영상입니다.2년전 쯤 만들어진 영상인데 4개월 전에 영상 밑에 댓글이 하나 달렸습니다.댓글 확인은 최근에 하게 되었습니다.내용은 이렇습니다.영상 감사합니다. 제 아버지, 이영진목사님은 은퇴 후에 울산에서 잘 지내고 계시고, 저(단체 사진에서 아버지에게 안긴 아이가 저입니다)는 덕분에 잘 자라나서 지금은 가정을 이루고 서울에서 목회하고 있습니다. 언제 기회가 되면 부모님과 방문하고 싶네요. 유일하게 이름이 기억나는 어린 시절 친구 방재덕도 연락이 닿으면 좋겠네요. 하나님께서 옥산교회 성도님들과 목사님께 풍성한 은혜 베풀어주시길 기도합니다. ^^>>이영진 목사님은 옥산교회에서1980년-1984년까지 시무하셨습니다.감사하게도 목사님.. 2025. 4. 5. 아버지 집에 꽃이 가득하다. 김숙희 피택권사님이 우리교회에 오시고 나서늘 아버지 집에 꽃이 가득하다.세심하게 꽃을 꽂으시고 관리하신다.마치 사랑하는 자를 돌보는 것처럼..늘 봉사하시며 주님께서 기뻐하시는 모습을 상상하시는 듯하다덤으로 오늘은 내 방에도 꽃을 꽂아 주신다^^ 2025. 4. 4. 사순절28일차 묵상자료 4월 5일(토) 제28일. 4월 5일(토) . 호기심 : 견딜 수 없는 궁금증을 따라가는 죄. 찬 송 : “주의 음성을 내가 들으니”(540장)본 문 : 잠언 9장 13-18절중심구절 : “오직 그 어리석은 자는 죽은 자들이 거기 있는 것과 그의 객들이 스올 깊은 곳에 있는 것을 알지 못하느니라”(18절). 깊은 묵상관심과 호기심은 마음이 끌려 주의를 기울인다는 점에서 비슷합니다. 하지만 과도해지면 전혀 다른 결과를 가져옵니다. 과도하고 무분별한 호기심은 우리를 불필요한 것에 집착하게 하고, 정작 알아야 할 중요한 진리에서 멀어지게 합니다. 잠언 9장에서 솔로몬은 호기심에 빠져 신앙의 길에서 벗어난 자들을 비유로 설명합니다. 어리석고 떠들기만 하는 여인은 사람들이 잘 보이는 곳에 앉아서 '자기 길을 바로 가는 행인들을.. 2025. 4. 4. 사순절27일차 묵상 자료 4월 4일(금) 제27일. 4월 4일(금) . 허영 : 남에게 보이는 것에 집중하는 죄. 찬 송 : “겸손히 주를 섬길 때”(212장)본 문 : 빌립보서 2장 1-4절중심구절 : “아무 일에든지 다툼이나 허영으로 하지 말고 오직 겸손한 마음으로 각각 자기보다 남을 낫게 여기고”(3절). 깊은 묵상살다 보면 허영심에 빠질 때가 있습니다. 허영은 '남들에게 보이는 자기 모습에서 만족을 추구하는 죄'입니다. 허영심은 우리의 느낌을 하나님의 판단보다 앞세우게 하고, 타인을 시기하게 하며, 하나님께서 주신 삶의 목적에서 벗어나게 합니다. 사람들에게 칭찬받을 때, 혹시 우리의 마음이 허영심으로 가득 차지는 않습니까? 무엇이 우리를 진정으로 만족하게 하는지 되돌아보아야 합니다. 바울이 로마 감옥에 갇혔을 때, 일부 사람들은 겉치레.. 2025. 4. 4. 사순절 묵상자료 26일차 4월 3일(목) 제26일. 4월 3일(목) . 자기 연민 : 참된 사랑을 거스르는 죄. 찬 송 : “부름받아 나선 이 몸”(323장)본 문 : 로마서 6장 6-11절중심구절 : “이와 같이 너희도 너희 자신을 죄에 대하여는 죽은 자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께 대하여는 살아 있는 자로 여길지어다”(11절). 깊은 묵상예수님은 죄인들을 향한 연민을 나타내셨고, 그 사랑은 십자가에서 절정에 이르렀습니다. 연민과 긍휼은 이처럼 사랑으로 이어집니다. 하지만 자기 연민에 빠지면 자신을 소외된 존재로 여기고 그리스도의 사랑을 무의미하게 만들어 버립니다. 우리도 여기에 예외는 아닙니다. 로마서 6장에서 바울은 옛 사람이 십자가에 못 박히면 그리스도인이 어떻게 변하는지 이야기합니다. 죄에서 해방되고(7절), 그리스도와 함께 살리.. 2025. 4. 2. 사순절 25 일차 묵상 자료 4월 2일(수) 제25일. 4월 2일(수) . 인색함 : 내 것에 집착하는 죄. 찬 송 : “값비싼 향유를 주께 드린”(211장)본 문 : 누가복음 12장 15-21절중심구절 : “그들에게 이르시되 삼가 모든 탐심을 물리치라 사람의 생명이 그 소유의 넉넉한 데 있지 아니하니라 하시고”(15절). 깊은 묵상진정한 행복과 만족은 어디에서 올까요? '돈'이라고 대답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아니면 아파트, 승진, 학위, 차 같은 '소유물'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예수님은 재물을 지나치게 중요시하는, 모든 탐심을 물리치라고 말씀하셨으며, "사람의 생명이 그 소유의 넉넉한 데 있지 아니하니라"고 가르치셨습니다(15절). 또한 자칫 자기만을 위해 재물을 쌓아두다가 하나님께 가난한 자가 되지 말라고 비유로도 설명하셨습니다(.. 2025. 4. 1. 이전 1 2 3 4 ··· 73 다음 more